산수유 <
가을에 완전히 익은 열매를 채취하여 씨를 빼고 건조시킨다.
성분은 주로 타르타르산·말산·당분·수지 등 여러 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주로 간과 신장의 경락에 작용하며, 성질은 약간 따뜻하며 독이 없다.
산수유는 보익간신(補益肝腎)·삽정(澁精)·염한(斂汗) 등의 효능이 있어
간신부족(肝腎不足)으로 정액이 저절로 나오는 증상에 쓴다.
간신허(肝腎虛)로서 빈뇨(頻尿)·야뇨·어지럼증·이명(耳鳴)·요슬산통(腰膝酸痛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픈 증상)이 있는 경우에 쓰며 신양허(腎陽虛)로 인한
음위(陰痿:발기불능)나 조루 등에도 사용한다. 또 간신부족(肝腎不足)으로
인한 고혈압에도 쓴다. 기혈(氣血)이 모두 허(虛)하여 생기는 자궁출혈
, 월경과다에도 쓰이는데 이때는 지혈약(止血藥)을 배합해야 효과가 있다.
망양(亡陽:급성·만성의 허탈상태)으로 땀이 멎지 않을 때도 효과가 있다.
자한(自汗:수면·노동·기후 등에 관계없이 낮에 나는 땀으로 대개 기허에 기인함)에는
황기(黃芪·인삼 등의 익기약(益氣藥)을 배합한다. 도한(盜汗:수면중에 나는 땀으로
대개 陰虛에 기인함)에는 당귀(當歸)·숙지황(熟地黃)·목단피(牧丹皮)·백작약(白芍藥) 등의
자양보혈약이 배합된다.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사람이 사용해서는 안 된다
007년11월21일 수락산 아랫오름에서
은보라빛 찍음.
출처 : 꽃과나비의향기속으로
글쓴이 : 은보라빛 원글보기
메모 :
'은희광 사진이야기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보라빛 홍매화 이야기 (0) | 2009.04.16 |
---|---|
[스크랩] 은보라빛과 눈 내린 수락산 산비들기 1-5. (0) | 2007.11.23 |
[스크랩] 벼 이삭위로 첫 눈이내렀내. 1-5. (0) | 2007.11.23 |
[스크랩] 붉은 단풍잎위로 내린 첫눈 1-5. (0) | 2007.11.23 |
[스크랩] 첫 눈이내린날 수락산의 신우대나무 1-5. (0) | 2007.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