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보라빛 중랑천 6월의꽃길 왜가리 은보라빛 중랑천 왜가리 008년 6월7일찍음 왜가리류 (조류) [― 類, heron 황새목(―目 Ciconiformes) 백로과(白鷺科 Ardeidae) 백로아과(白鷺亞科 Ardeinae)에 속하며 다리가 긴 60여 종(種)의 섭금류(涉禽類). 보통 백로류라고 부르는 몇 종의 조류도 여기에 포함된다. 백로과는 알락해오라기아과(Botaurinae) 인 알락.. 중랑천 의 철새 2008.06.08
은보라빛 중랑천 고방오리 고방오리 [pintail] 몸길이 수컷 75cm, 암컷 53cm이며 수컷의 날개길이는 24.5~28cm이다. 수컷 겨울깃의 머리는 짙은 갈색이고 목 아래에서 머리 뒤쪽으로 흰색 줄이 나 있다. 등에는 연한 갈색 바탕에 흑백의 가는 가로무늬가 나 있고, 중앙의 검은 꽁지깃이 위로 길게 삐져 나와 있다. 암컷은 전체적으로 갈색.. 중랑천 의 철새 2008.04.21
은보라빛 중랑천 노랑부리 백로 노랑부리백로 (조류) [Egretta eulophotes] 황새목(―目 Ciconiiformes) 백로과(白鷺科 Ardeidae)의 한 종(種 1987년 8월 12일 인천광역시 옹진군 신도(新島)에서 처음 번식지가 발견된 뒤, 1988년 6월 10일과 6월 27일의 2회, 1989년 5월 18~20일의 2회, 1991년 6월 18일과 27일의 2회 등 4년 동안 학술조사되었다. 신도는 북위 37°.. 중랑천 의 철새 2008.04.01
은보라빛 중랑천 노랑부리 백로 노랑부리백로 (조류) [Egretta eulophotes] 황새목(―目 Ciconiiformes) 백로과(白鷺科 Ardeidae)의 한 종(種 1987년 8월 12일 인천광역시 옹진군 신도(新島)에서 처음 번식지가 발견된 뒤, 1988년 6월 10일과 6월 27일의 2회, 1989년 5월 18~20일의 2회, 1991년 6월 18일과 27일의 2회 등 4년 동안 학술조사되었다. 신도는 북위 37°.. 중랑천 의 철새 2008.04.01
은보라빛 중랑천 수면성 오리류 수면성 오리류 말 그대로 수면에서 주로 먹이를 먹는 오리들입니다. 수면성 오리류의 특징 1. 잠수는 거의 하지 않는다. 2. 물에 있다 날아오를 때 그 자리에서 바로 날아오른다. 3. 두개의 다리는 몸의 가운데에 있다. 4. 헤엄칠 때 꼬리는 물 위로 올라와 있다. 우리나라에는 13종 정도를 볼 수 있습니다... 중랑천 의 철새 2008.04.01
은보라빛 중랑천 수면성 오리류 수면성 오리류 글쓴이: 땅돌이 말 그대로 수면에서 주로 먹이를 먹는 오리들입니다. 수면성 오리류의 특징 1. 잠수는 거의 하지 않는다. 2. 물에 있다 날아오를 때 그 자리에서 바로 날아오른다. 3. 두개의 다리는 몸의 가운데에 있다. 4. 헤엄칠 때 꼬리는 물 위로 올라와 있다. 우리나라에는 13종 정도를 .. 중랑천 의 철새 2008.04.01
은보라빛 중랑천 청동오리 청둥오리 (조류) [mallard] 기러기목(─目 Anseriformes) 오리과(─科 Anatidae)에 속하는 북반구에 흔한 야생 오리 대부분의 가금 오리의 조상이다. 몇몇 품종 가운데 청둥오리(A. p. platyrhyn-chos:일반명이 A. p.와 같음) 유럽·아시아·아프리카 및 북아메리카 북부에 걸쳐 번식하며, 남아프리카·인도·멕시코 .. 중랑천 의 철새 2008.03.26
은보라빛 중랑천 비들기 비둘기목(―目 Columbiformes) 비둘기과(―科 Columbidae)에 속하는 수백 종(種)의 조류(鳥類). 보통 작은 종류를 더브(dove)라 부르고 큰 종류를 피전(pigeon)이라 하지만 흔히 혼용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평화의 비둘기'(dove of peace)로 알려진 것은 흰집비둘기(white domestic pigeon)이다(→ 집비둘기). 비둘기류는 .. 중랑천 의 철새 2008.03.26
no9-은보라빛&중랑천눈내린날 철새 황새목(―目 Ciconiformes) 백로과(白鷺科 Ardeidae) 백로아과(白鷺亞科 Ardeinae)에 속하며 다리가 긴 60여 종(種)의 섭금류(涉禽類). 왜가리는 한자리에서 몇 시간을 서 있을 수 있을까? 그리고 하루에 몇 마리정도 먹이를 섭취할까? 어쩐 적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말이다. 보통 백로류라고 부르는 몇 종의 조류.. 중랑천 의 철새 2008.03.06
no8-은보라빛&중랑천철새오리류 *오리류(Ducks) 오리류는 먹이자원을 이용한느 행동에 따라 황오리류,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로 구분하였따. 황오리, 혹부리오리가 속하며 수면성 오리류는 수생식물을 잠수하지 않고 채식하거나 물위에서 휴식을 취한다. 잠수성 오리류는 수생동식물과 물고기류를 채식하는데 물속에 잠수하여.. 중랑천 의 철새 2008.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