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새[migratory bird]
까닭:철새의 이동 경로:제비의 이동:
그리고 몇 달이 지나면 다시 날아가 자취를 감춰 버린다. 이와 같은 새의 여행을 이동이라 하며,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새를 철새라고 한다.
[철새의 생태]
철새는 알을 낳아 새끼를 기르는 번식지와 추운 겨울을 나는 월동지가 따로 정해져 있어서 일정한
철에 따라 이동하는 새이다. 철새는 추위를 피하고, 먹이를 구하기 위하여 떼 지어 먼 거리를 오간다.
[구분]
우리나라에는 봄에 와서 여름을 보내고 가을에 남쪽으로 돌아가는 여름새가 있고, 가을에 와서 겨울을
나고봄에 북쪽으로 돌아가는 겨울새가 있다. 또 북쪽에서 번식하고 겨울을 나기 위하여 남쪽으로
날아가는 도중에 우리나라에 잠깐씩 들르는 나그네새도 철새로 구분한다. 그리고 떠돌이새와 길 잃은
새도 철새로 구분한다.
[겨울새]
우리나라에 와서 겨울을 나는 새는 우리나라보다 추운 북쪽에서 번식하고, 가을이 되면 우리나라로 온다.
그리고 이듬해 봄, 원래의 번식지인 북쪽으로 돌아간다. 기러기, 두루미, 청둥오리, 개똥지빠귀 등이
겨울새이다.
[여름새]
봄부터 여름에 걸쳐 우리나라에서 번식하고, 늦여름부터 가을에 남쪽으로 날아가는 새가 여름새이다.
제비, 뻐꾸기, 두견이, 파랑새, 쏙독새, 중백로, 쇠물닭 등이 여름새이다.
[나그네새]
우리나라보다 북쪽에서 번식하고 겨울을 남쪽에서 보내는 새로서, 이동하는 도중에 1년에 두 차례(봄, 가을)
우리나라에 잠깐 머무는 새이다. 나그네새로는 물떼새 무리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떠돌이새]
여름에 산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낮은 곳으로 내려와 겨울을 보낸다.
우리나라 안에서 여름과 겨울에 사는 장소를 바꾸는 새이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떠돌이새로는
굴뚝새, 꾀꼬리, 말똥가리, 가마우지, 괭이갈매기
, 때까치 등을 들 수 있다.
[길 잃은 새]
원래 우리나라에 날아오지 않는 새로서, 태풍 등으로 길을 잃고 들어온 새이다. 이에는 사막꿩, 사다새,
군함조, 흰기러기, 미국쇠오리, 바람까마귀 등 진귀한 종류가 많다.
[텃새와 철새]
1년 내내 같은 장소에 살면서 이동을 하지 않는 새를 텃새라 하며, 우리나라에는 참새, 까마귀, 까치, 꿩,
비둘기등이 있다. 조류는 이동하는 것과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나눌 수 있으나, 이 두 가지 사이에
뚜렷한 선을 긋기가 쉽지 않은 것도 많다. 즉 같은 종류라도 어떤 지방의 것은 이동을 하지만,
어떤 지방의 것은 이동하지 않는것이 있다. 또 같은 지역에서 번식한 같은 종류의 새라도 대부분의 새는
이동을 하지만, 일부는 이동을 하지 않고 그 지방에 그대로 머물러 있는 예도 흔히 볼 수 있다.
[철새가 이동하는 까닭]
새가 왜 이동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하지 않은 점이 많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생각하고 있다.한대 지방이나 아한대 지방은 겨울이 길고, 봄과 여름이 거의 동시에 찾아온다.
따라서 새의 먹이가 되는 곤충들은 많은 종류가 한꺼번에 번식한다. 또 꽃도 피고, 열매도 많이 맺으므로
새들이먹이를 먹고 번식하기에 매우 좋은 조건이 된다. 그러나 가을이 일찍 오므로 곧 먹이가 없어지고,
갑자기 눈이 내리기 시작하면 새들은 다시 남쪽의 따뜻하고 먹이도 풍부한 지방으로 이동해 간다.
그러나 이 새들도 봄부터 초여름까지는 다시 먹이를 얻기 쉬운 원래의 장소로 되돌아간다.
열대 지방 중에 1년이 우계와 건계로 뚜렷하게 구별되는 지방에서는 건계의 경우 식물이 자라지 못하고
먹이도 없어지므로, 먹이가 있는 곳을 찾아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새가 많아진다. 열대 지방에서도
우계나 건계가 없는곳에서는 항상 먹이가 풍부하므로 그 곳에 사는 새들은 대부분 이동을 하지 않고
그대로 머물러 살아간다.철새는 이렇게 해서 해마다 이동을 되풀이하는 동안에 이동하는 성질이 몸에
배어, 결국 먹이가 부족하다거나 추위가 심해진다거나 하는 일이 없어도 어느 시기가 되면 이동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철새의 이동 경로]
철새는 해마다 같은 경로를 거쳐 비슷한 시기에 이동을 하는데, 보통 하천, 계곡, 산맥, 해변을 따라
이동하고 바다는 직선으로 횡단한다. 주로 낮에 이동하지만, 밤에도 서로 울음소리를 신호로 하여 일정한
간격을유지하면서 목적지를 향해 날아간다. 때로는 태풍이나 센 바람에 의하여 이동하는 경로가 조금씩
바뀌기도 한다.그러나 목적지에는 정확히 도착한다. 철새 중 가장 긴 이동을 하는 것은 북극제비갈매기이다. 이 새는 북극 가까운 지방에서 번식하고, 겨울이 가까워지면 아프리카나 남아메리카를 지나 남극에까지
날아간다.
[제비의 이동]
제비의 먹이는 대부분이 곤충이다. 제비는 곤충이 많이 나타나는 봄이 되면 우리나라에 와서 집을 짓고
새끼를 친다. 그리고 가을이 되어 곤충이 적어지면 보다 따뜻하고 먹이도 많은 필리핀이나 뉴기니, 오스트레일리아 등 남쪽 나라로 날아간다. 보통 제비는 지난해 지은 집에 되돌아온다.<자료다음숙제백과에서>
<중랑천 봄의길에서 철새들의 이야기 2012년 3월18일 중랑천창동교상류물가 에서>> 2012년 3월21일 은보라빛작성
'* 중랑천의 생태체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랑천6월 매화나무에서 큰애벌레 (0) | 2012.07.01 |
---|---|
곤충들의 발연기?알고보면 살아남기위한 생존전략입니다 (0) | 2012.03.27 |
중랑천 봄이오는물가 갯버들과고방오리의모습 (0) | 2012.03.15 |
중랑천 잠자리의얼굴모습<잠자리과>은보라빛 (0) | 2012.01.29 |
중랑천 봄 꽃과은보라빛 벌목 -벌에대한이야기 3. (0) | 2011.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