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식물 민간요법

중랑천7월 제방의산딸기효능

ehkoang은희광 2013. 7. 14. 19:27

 산딸기는 특히 정력제로 유명하다. 

 성인용 영화의 제목으로 「산딸기」가 많은 것도 산딸기의 약효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산딸기의 약명 「복분자(覆盆子)」도 딸기를 먹으면 오줌발이 너무 세어 요강(盆)을 뒤집는다

 (覆)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동의보감에서도 복분자는 남자의 정력이 모자라고 여자가

  임신되지 않는 것을 치료하고 남자의 음위증을 낫게하고 눈을 밝게 하며 기운을 도와 몸을 가볍게

  한다고 기록돼 있다. 산딸기는 나무전체에 가시가 많이 나있는 장미과의 낙엽활엽성 관목으로

  높이는 약 3m정도까지 자란다.  줄기의 둥치는 굵지 않고 붉은색을 띠며 가지에 흰가루가 덮여있는

  것이 특징이다.  잎은 새 날개 깃 모양의 복엽으로 나고 뭉뚝하거나 쐐기모양이다.

   5월에 흰 꽃이 피어 6~7월에 검붉은 빛깔로 익는데 익은 것은 새콤달콤하여 맛이 좋다.
   복분자 딸기의 성분은 유기산으로 주적산, 구연산 등을 함유하고 있고 정유, 회분, 비타민 A, B, 

     다량 함유되어 있다. 특히 열매에는 탄수화물, 유기산, 비타민 등이 들어있는데 탄수화물로는

   포도당, 과당, 서당, 펙틴, 탄닌, 찌아니딘클로리드, 아세토인 등이 들어있다.
  本草書」에는 복분자는 성질이 평하고 맛이 시고 달며, 독이 없으므로 남자의 신허와 여자의

  불임을 주치하고 남자의 양기무력을 강하게 하고 간장을 보한다.

  또 눈을 밝게하고 몸을 경쾌하게 하고 머리털을 희지 않게 하며 소변을 바르게 하는 동시에 살결을

  부드럽고 아름답게 해준다고 기록돼 있을 정도로 그 효능이 다양하다.
  복분자는 열매와 잎, 뿌리, 꽃 모두 약재로 사용된다. 열매는 덜 익은 것을 따서 햇볕에 말려서

  사용하는데 옛부터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씻어서 술을 품어 쪄서 말려야 약효가 제대로 난다는

  말이 전해지고 있다. 산딸기 열매는 주로 신장과 간장에 들어가는데 남자의 신장을 튼튼하게

  하여 음위를 치료하고 여자에게는 자궁병으로 인한 불임증에 사용된다. 
  또 신장의 기능을 강하게 하여 유정과 몽정을 치료하고 소변의 양과 배설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도와준다. 그러므로 자다가 오줌을 싸는 어린이, 소변을 참지못해 화장실에 자주

  가야 하는 어른에게도 효과가 좋다. 이외에도 산딸기에 함유돼 있는 탄닌성분으로 항암효과가

  있어 암을 예방하고사포닌은 거담, 진해, 콜레스테롤 대사를 촉진해 감기, 열성질병, 폐렴, 기침

  등에도 좋은 것으로알려져 있다. 잎과 꽃을 우린 액은 치질, 눈의 염증을 치료하고 신경쇠약,

  고혈압 동맥경화에도 효능이 있다.  잎을 우린 액은 설사를 멎게 하고 지혈제로 사용된다.

  꽃을 달인 액은 자궁염증, 신경쇠약, 급성 및 만성감염성 질병에 쓰며 뱀이나 벌레에 물렸을 때에도

  효능이 있다.뿌리는 알레르기 또는 감염성인 기관지 천식, 습진 등 알레르기성 질병에 효험이 있다.

  중국에서는 산딸기의 뿌리를 도생근(倒生根)이라고 하여 활혈(活血), 지혈, 조혈, 불임증, 월경불순

  등에 이용했다.지리산에 자생하고 있는 약초를 연구하고 있는 성환길 박사는 산딸기는 밭에서 나는

  양딸기보다는 비타민C라든지 여러가지 영양가가 다소 뒤떨어지는 감이 있으나 미용과실로서

  여자들에게권장할만하다고 한다.성박사는 『딸기에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좋은 약효성분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므로 좀더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라며 『딸기를 많이 먹거나 즙을

  바르면 검은 머리를 희지않게 한다는 것도 아마 노화를 방지하고 젊음을 유지하는 물질이

  함유돼   있기 때문일 것』이라고 말했다. 
 산딸기의 민간요법 
  어린이 야뇨증=산딸기 600g을 햇볕에 말려 가루를 낸뒤 흑설탕 한근을 넣어 약한 불로 볶아서

  고약처럼 된 것을 한번에 한숟갈씩 하루 3번씩 식후에 먹는다.
  당뇨병=물 한말에 산딸기 뿌리와 가지를 잘게 잘라 세근을 넣어 물이 반이 되도록 달여서 엿기름

  을 약간넣어 조청을 만들어 매일 몇차례씩 물에 타서 마신다. 물 한사발에 큰 숟가락으로 2~3숟

  가락 정도타서 마신다결막염, 유행성 눈병, 눈이 어두운 증세=산딸기를 말려서 미세하게 가루를

  내어 토종꿀과 섞어 눈에떨어뜨린다.산딸기 잎으로 즙을 내어 점안을 하면 눈을 밝게하고 눈병을 

 치료하는데 좋은 효과가  있다성기능 저하=지나치게 정력을 소비하여 허리가 아프고 다리에 힘이

없으며 성기능이 떨어진 사람은 덜익은 산딸기를 따서 그늘에 말린 다음 시루에 넣고 쪄서 말린뒤

 가루를 내어 한번에 한숟가락씩 하루에3번씩 먹거나 찹쌀풀로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

 소주 세되에 산딸기 한되의 비율로 술을 담가서 3개월쯤 숙성시킨뒤에 산딸기를 건져내고 하루에

 세번 밥 먹을 때

 마신다.체했을 때=산딸기 뿌리는 몸 안에 있는 딱딱한 덩어리를 없애는데 특효.

고기나 생선을 먹고 체했을 때나 뱃속에 덩어리가 있을 때에는 산딸기 뿌리를 캐서 3~4시간 푹 달여서

그 물을 마시면 효험이 있다. 한방으로 본 산딸기 
 복분자는 낙엽관목인 복분자딸기, 덩굴딸기, 섬딸기, 나무딸기, 붉은가시딸기의 미성숙한 과실이다.
약성은 달고 시며 평하고 무독하며, 주로 간장과 신장에 작용한다.
그 효능은 간장과 신장을 보하는 보간신작용과 정액을 수렴시키고 소변을 다스리는 삽정축뇨(澁精縮尿)

작용이 있다.복분자는 자양으로 간신을 보하며 수렴작용도 겸하고 있기 때문에 신기능 허약으로

 인한유정, 몽정, 유뇨, 소변빈삭 또는 양기가 부족할 때 쓰인다.  임상상 소변과다를 다스릴 경우 흔히

 상표초, 산수유, 토사자 등과 함께 응용한다. 예컨데 「千金方」에서는 몽유실정(夢遺失精)을

 다스리고자 할 때 복분자에다 산수유, 감실, 용골, 연수 등의 고신삽정(固腎澁精)하는 약물을 배합하여

 응용하면 치료효과가 대단히 좋다고 하였다.주단계의 「오자행종환」은 복분자, 구기자, 토사자,

오미자, 차전자로 구성되어 정액이 손상되고 양기가 약해진 증상을 다스리는 것인데, 이는

보정익신(補精益腎) 의 효가 있기 때문이다. 비록 습관적 유정이라 하더라도 복분자에다

연자육과 차전자를 배합하면 치료 효과가 현저하다. 또한 간신이 허약해서 오는 시력약화,

눈앞에서 꽃이나 별과 같은 것이 헛보이는 증상에 구기자, 여정실을 배합하여 사용한다.

 간기능을 활성화 시켜 시력을 증강시키고 기운이 나게 하며, 흰머리를 검게한다.

 부인병에도 효과가 있어 꽃이 필 무렵에 전체를 채취하여 말린 후 이것을달려 복용하면 효능이 있다.

복분자를 생으로 먹으면 강장작용이 있고, 보혈, 청량(淸凉) 지갈(止渴),심계항진, 이뇨, 호흡계질한,

 천식, 불임 등에 효과가 있다.  김종국(마산본초당한의원 원장)

 

 

 

 

 

 

                                <중랑천 창동교상류제방 산딸기열매 2011년 7월9일 은보라빛촬영>

                                         2013년7월14일 은보라빛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