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랑천 8월주홍날개꽃매미 2012년 8월10일 중랑천 녹천교상류둔치에서09810 은보라빛촬영>
중국에서 날아온 주홍날개 꽃매미.
주홍날개꽃매미
꽃매미(Lycorma delicatula White)는 중국 난징지방에서 세계적으로 처음 보고되었다.
저계’(가죽나무에 살며, 날개에 채색 무늬가 있는 벌레의 이름)라 한다. 이순은 다른 이름으로 ‘산계’라 했다.발생생태- 발 생 : 년 1회. 월 동 태 : 알- 탈피횟수 : 4회- 부화시기 : 5월 중순
약충기간 : 5월하순 ~ 7월중순- 성충출현시기 : 7월중순 ~ 11월 상순 산 란 수 : 400~500( 30개/난괴)
발생은 년 1회 발생하며, 알로 월동한다. 이들은 나무줄기 등지에서 알로 월동하여 이듬해 4월말부터
부화하여, 7월 중하순부터 성충이 되어 포도원 주변의 인근 야산에 서식하다가 8월 하순이후 본격적으로
포도원으로 침입하여 포도줄기를 흡즙하여 포도나무를 고사시키거나, 수액을 빨아먹고 배설하는
감로(甘露-광합성방해)에 의해 포도 열매나 잎 등에 그을음병이 생겨 포도의 상품성을 현저히 저하시킨다.
꽃매미 암컷 성충은 일생동안 약 400에서 500개의 알을 낳게 되는데, 9월 중순이후 찬바람이 불기 시작할
때부터 11월 초순 동사하기 직전까지 개당 약 30개 정도씩의 알이 뭉쳐 있는 난괴 덩어리로 총 20~25개
정도의 난괴를 만들고 사망하게 된다. 산란한 난괴는 왁스층으로 코팅하여 기생봉 등의 천적의 산란을
막는다. 또한 왁스층이 두터워 간단한 약제 살포로는 알을 사망시킬 수도 없다.
월동한 알은 4월말부터 5월 초순까지 부화하기 시작하여 총 4회 탈피하며, 약충기간은 4월말부터
7월 중순 까지이다. 7월 중순이후 4령에서 성충으로 우화하기 시작하는데, 처음에는 이동성이 그리
커지 않으며,우화한 나무에서 흡즙하며 내부생식기를 발달시킨다.
국내에서는 가죽나무를 비롯하여 약 41개 수종에서 흡즙하는 것이 관찰되고 있으며, 약충기에는 10여
종의초본류에서도 흡즙하는 것이 관찰되고 있다. 성충의 몸길이는 20밀리미터, 날개길이는
약 50밀리미터, 속날개는 홍색이며, 앞날개의 기부에는 20여개의 검은 반점이 있다.
속날개 기부의 1/3은 홍색이고, 중간부위는 백색이며, 말단부는 흑색이고, 몸과 앞날개에 항상 백색의
밀랍가루가 있다. 약충 초기부화시의 백색은 허물을 벗으면, 검은색으로 변하고, 백색의 작은 점들이
무수히 많다. 4세가 된 후 등부분이 붉은색으로 변하며, 시아(wing bud)가 생긴다. 4-5월에 부화하여
유충이 되고, 허물을 벗으면, 약충이 되며, 약충은 항상 어린가지와 부드러운 잎 뒷면에 피해를 준다.
약충기간은 약 40일이고, 4차례 허물을 벗은 후 성충으로 된다. 성충과 약충은 모두 뛰어오를 수 있으며,
비교적 빠르게 기어다녀, 사람을 피해 빠르게 숨을 수 있다.
7-8월에 비교적 많이 발생하며, 성충의 대부분은 야간에 교미활동을 하며, 수명은 4개월까지 살 수 있다.
성충 대부분은 가지와 덩굴, 또는 가장자리 그늘진 면에 알을 낳고, 알은 항상 줄지어 낳으며, 난괴는
두터운 왁스층으로 밀랍가루로 덮여있다. 알 하나를 낳으려면 우화 후 약 23일이 필요하고, 산란한 후
성충은 사망한다. 자료출처다음카페낙원산약초 에서>
2012년 8월14일 은보라빛작성.
'은희광사진가의사진이야기 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희광사진작가와 참매미<매미과> (0) | 2014.12.26 |
---|---|
다산문화제(다산유적지) 퇴계원산대놀이보존회 1. (0) | 2014.03.01 |
중랑천8월 참매미<매미과> (0) | 2012.08.06 |
은보라빛 중랑천 주홍날개 꽃매미<1> (0) | 2008.07.28 |
은보라빛& 주홍날개 꽃매미 (0) | 2008.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