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증상, 질환별 민간요법 및 간편처방 |
(※ 출처: 동의보감, 약재 뒤 g수는 1일분 달임량/ 약재 뒤 숫자는 비율/ 가루 및 환약 뒤 숫자는 1회 복용량임; 달임량 및 복용량은 체구가 적고 내성이 약한 옛날사람 기준이므로 제시량보다 다소(30% 정도) 높게 잡아야 함) 1) 사교창 (뱀에 물린 상처): ① 지네(오공) 가루를 기름에 개어 바른다. ② 석웅황(황금석) 가루 5g을 와세린 25g에 섞어 고약을 만들어 이틀에 한 번 바른다. ③ 애기풀(영신초)이나 담뱃잎, 또는 한삼 덩굴 생잎을 짓찧어 붙인다. 2) 사마귀: ① 의이인 (20g)을 달여 식전에 세 번 마시고 사마귀에 바른다. ② 가지 꼭지나 민들레 줄기에서 나오는 즙을 바른다. 3) 산후기침: ① 오미자 6g 정도를 뜨거운 물에 우려 끼니 전에 마신다. ② 관동화 12g을 달여 꿀을 타서 마신다. ③ 나복자 가루(10~20g)를 꿀물에 타서 끼니 전에 마신다. ④ 패모를 볶아서 가루 내어 꿀로 환을 만들어 10알 씩 두세 번 먹는다. ⑤ 마가목 (10~20g) 4) 산후 배아픔 (훗배앓이): ① 현호색 (연호색)가루 (4g) ② 작약 15g + 감초 10g ③ 당귀가루 (4g) ④ 산사 10g + 애엽 10g + 몰약 10g 5) 산후 부종(붓기): ① 늙은 호박즙 ② 도라지 두 줌으로 가물치 국을 끓여 먹는다. ③ 잉어국 ④ 숭어국 ⑤ 방기, 쉽싸리 각 18g을 달여 공복에 먹는다. ⑥ 늙은 호박 속을 파내고 껍질을 벗겨 잘라 백출, 대추, 더덕을 넣고 삶아서 찌꺼기를 걸러 한 달 정도 복용한다. 6) 산후열: ① 형개가루 한 숟가락 씩 하루 세 번 공복에 먹는다. : 전신이 아플 때 ② 노봉방 30g : 오로가 멎지 않고, 머리 아플 때 7) 산후 조리: ① 가물치 1마리 (4~5일분), 녹각 40g, 황기 40g, 신 당귀 8g 생강 4쪽에 물을 충분히 붓고, 8시간 정도 달여서 하루에 두 번 식후에 복용한다. 3~4마리 정도 복용한다. 8) 산후증(산후풍): ① 호두알, 인삼 각 10g ② 강활 (15g) ③ 황기 (20g) ④ 형개, 방풍 각 10g ⑤ 모려분 + 밀기울가루 (5g)를 돼지 고기국에 타서 먹는다. ⑥ 늙은 호박에 뚜껑을 딴 후 속을 파내고, 찹쌀과 누룩을 7:3으로 섞고 계피는 그 양의 1/10을 넣는다. 물을 적당히 넣어 뚜껑을 닫아 따뜻한 아랫목에 사흘 이상 발효시킨다. 하루에 세 번 마신다. ⑦ 독활 80g, 당귀 40g에 정종 1리터, 물 1리터를 붓고 30~40분 간 달여서 하루에 세 번 3일 정도 복용한다. 9) 산후 출혈: ① 측백엽 태운 것(20~40g) ② 포황가루 (3g) ③ 익모초 (15g) + 대추(4개) ④ 하엽을 살짝 태워 가루 내어 4g씩 더운 술에 타서 하루 세 번 마신다. ⑤ 애엽 +송엽(솔잎) ⑥ 익모초 10g, 생지황 6g, 황주 1컵을 질그릇에 담아 솥에 푹 쪄낸다. 걸러서 커피잔 반 잔 씩 하루 두 번 마신다. 10) 삼눈: ① 생팥 10알 정도를 따끈하게 데워서 눈 잔등에 대고 20~30 분간 하루에 두세 번 가볍게 비벼준다. ② 식품 : 채소, 과일, 간유, 기름기 많은 음식 11) 삼차 신경통 (1지 : 눈 신경통, 2지 : 위턱 신경통, 3지 : 아래턱 신경통): ① 버드나무 껍질, 다릅나무 껍질 각 1kg , 유근피 0.5kg을 달여 되게 졸여서 고약을 만들어 기름종이에 발라 붙인다. ② 엄나무 껍질 12g에 물 300ml를 넣고 달여서 세 번 나누어 마신다. (12) 살갖트기 ① 백급가루를 참기름에 개어 터진 곳에 붙이고 싸맨다. ② 칡덩굴을 잘라 잘게 썰어 2시간 정도 더운 물에 담갔다가 그 물로 자주 씻거나 바른다. ③ 수세미 줄기에서 나오는 물을 받아 꿀을 섞어 하루에 세 번 턴 곳에 바른다. (13) 상박신경통(신경근, 신경삭, 신경줄기의 원발성, 속발성 변화에 의하여 생기는 통증) ① 지네(오공)를 대가리와 발을 떼버리고 6~7마리를 가루내어 달걀 흰자위에 개어 하루 세 번 식사 후에 복용. 또는 지네 20g을 술 1리터에 넣고 1주일 후에 3~5ml 씩 하루 세 번 먹는다. ② 신선한 상기생(겨우살이)을 짓찧어 3% 식초를 약간 뿌려서 아픈 어깨에 대고 찜질한다. (14) 상악동염 ⇒ 축농증 (15) 상처 ① 오적골(오징어뼈)가루 ② 용아초가루 ③ 먼지버섯가루 ④ 약쑥생즙 (16) 생리불순 ⇒ 월경불순 (17) 생리통 ⇒ 월경곤란증 (18) 생손앓이 ① 선인장이나 알로에를 짓찧어 아픈 곳에 붙이고 싸맨다. ② 황백가루를 꿀에 바르고 싸맨다. ③ 버드나무 껍질(7)+유근피(3)를 달여서 졸여 하루 두세 번 바른다. (19) 설사 ① 현초(40g) ② 지유(20g) ③ 오배자(3)+지유(2)가루(4g) ④ 진피(목진피, 물푸레나무껍질, 15g):급성 ⑤ 저근백피(3)+백작약(2)+목향(2)가루(4g) ⑥ 저근백피(12g)+인삼(6g) ⑦ 곶감(3개)+현초(10g): 만성 ⑧ 사신탕: 초 파고지(8g)+육두구, 오미자, 현초 각 4g+오수유(2g)볶은 것: 복부가 냉하고 대소장기능이 약하고 과민성 체질, 급체, 식체, 식중독, 만성 궤양질환 ⑨ 황련황 (감기, 몸살과 같은 열성질환이 소화기 질환과 합병되면서 복통, 설사, 구토증상이 수반될 때 사용되는 처방): 황련(8g)+인삼(8g)+반하(5g)+감초(2g)+생강(2쪽) ⑩ 백출(15g) ⑪ 향부자(25g) ⑫ 한방차: 매실차, 생강차, 결명자 ⑬ 목단피(18g) (20) 성인병 예방(저항력 강화, 호르몬 분비 원할, 정신을 맑게, 피로회복) ① 맥문동차: 맥문동10g+갈근10g+감초4g+오미자4g (20) 성장탕(키크는 한약) : 하루 숙지황 15g, 구기자/산수유 각 8g, 택사, 목단피, 백복령, 산조인, 골쇄보, 구척, 산약, 우슬, 하수오, 음양곽, 녹각, 두충, 속단, 쇄양, 감초 각 6g 씩 달여서 하루에 두세번 석달 정도 장복한다. (21) 성홍열(어린이 급성전염병) ① 지치(자초근,6g)를 팔(적소두) 삶은 물로 달여 복용 ② 승마, 갈근 각 15g (22) 소갈증(체내열이 많을 때, 당뇨병이 있을 때) ① 현삼맥문동탕: 현삼, 맥문동 각 40g+산약, 천화분 각12g+ 육계, 오미자 각 4g (23) 소변불리(소변이 잘 안 나올때) ① 목통탕: 목통, 적복령 각 8g,+차전차, 구맥 각 4g (24) 소변이 잦을 때(빈뇨증, 다뇨증) ① 산수유탕: 산수유 10g+복분자 6g+상표초 6g+산약 8g ② 축척산: 오약 8g+ 산약 8g+익지인 4g (25) 소변이 탁할 때 ① 비해분청음: 비해, 석창포, 오약, 익지인, 백봉령 각 4g+감초 2g (26) 소아마비 ⇒어린이 척수마비 후유증 (27) 손발에 땀이 날 때 ① 백복령황금탕: 백복령 8g, 반하 6g, 황금, 황련, 황백 각 4g, 생강 3쪽에 물 1리터를 붓고 30~40분간 달여 하루 2-3번 복용. (28) 손발에 열이 날 때(몸이 허약해서 생긴 허열) ① 삼물황금탕: 건지황 12g, 황금, 고삼 각 6g ② 소요산: 백출, 백작약, 백복령, 당귀, 시호 각 4g, 감초 2g에 물 1.2리터를 붓고 달여서 식간에 하루에 한번 장복 (29) 손발이 저릴 때 ① 백출, 황기 각 20g 방풍 10g에 물 1리터를 붓고 30분 정도 달여서 차 마시듯이 수시로 복용, 2개월 이상 장복 ② 홍화, 당귀 30g에 설탕 50g을 유리병에 넣고 술을 부어 3개월 후에 찌꺼기를 걸러 보관하고 하루 한잔씩 장복 (30) 손발이 찰 때(수족냉증) ① 애엽(약쑥)(1)+당귀(1)+오수유(1)를 가루 내어 벌꿀로 팥알 크기의 환을 만들어 하루에 30-40알씩 두세 번 복용 (31) 손이 떨릴 때(수전증) ① 가시오가피주(하루 두세 잔; 술 담그는 법은 위 한방상식 메뉴 참조) ② 감국 100g, 생지황 200g, 당귀 100g, 구기자 100g를 술 담그는 유리용기에 넣고 소주1.5리터를 부어 두 달 후에 걸러서 보관하시고 식후에 두세 잔 씩 장복 (32) 수험생 체력보강에 ① 천마백출탕: 천마, 백출, 반하, 인삼 각 4g, 감초 2g 아침저녁 식후 30분 후 복용 (33) 숙취해소(알코올해독) ① 갈감오두탕: 갈근 15g, 감초 15g, 검은콩(서목태), 노란콩, 파란콩, 녹두, 팥(적소두) 각 5g을 달여 아침저녁 공복에 복용, 음주 후 1~2회 복용 ② 한방차: 갈근차, 감잎차, 비파엽차, 오미자차 (34) 술 중독⇒알코올 중독 (35) 숨이 찰 때(호흡곤란: *열이 나면서 손이 참: 폐염, 늑막염, 심내막염 *열이 없으면서 숨이 참: 만성폐결핵, 규폐, 폐기종 *열이 나면서 빠르고 가슴 두근거림: 심장병, 빈혈, 저혈압, 고혈압병, 신장염) ① 잠사가루 꿀 알약: 천식으로 숨이 찰 때 ② 자소자 20g+나복자 10g ③ 오미자 20g+살구씨 5개 ④ 영지 12g: 폐신장 질환에 의한 숨이 찰 때 ⑤ 은행 20개 +마황 8g+자감초 6g ; 기관지염으로 숨이 찰 때, 물 500ml를 붓고 150ml가 되게 달여서 잠자기 전에 복용 ⑥ 관동화 40g+백합 50g 꿀 알약(6g) ⑦ 관동화 10g+행인 12g: 기관지염, 기관지천식, 폐결핵으로 숨이 찰 때 ⑧ 길경 8g+행인 12g: 기관지염, 기관지천식, 폐결핵으로 숨이 찰 때 ⑨ 백부 6g+마황 10g+앵인 12g: 기침으로 숨이 찰 때 ⑩ 표고버섯 30g+연교 10g+지각 10g+갈근 20g: 특별한 질환이 없는데 숨이 찰 때 ⑪ 목통산: 목통, 행인, 자소엽, 시호, 진피, 오미자 각 3.5g: 유난히 숨이 차고 가슴이 답답하고 현기증이 날 때(기가 약한 사람) (36) 스트레스 해소 ① 평심차: 용안육, 맥문동, 감초 각 5g+대추 3개 ② 한방차: 갈근차, 대추차, 녹차 (37) 습진 ① 송진 20g과 돼지기름 40g을 끓여서 바른다. ② 지유를 태워서 가루 낸 것 30g에 와세린 70g을 섞어 개어 바른다. ③ 사상자 30g에 물 200ml를 붓고 끓이면서 김을 쏘이고 끓인 물로 씻거나 바른다. ④ 소목 100g ⑤ 유황+백반가루 ⑥ 고백반+고삼(너삼)가루를 술에 타서 천에 적셔 비벼 준다 ⑦ 부평초 5g을 달여서 복용 ⑧ 황백이나 상백피를 진하게 달여서 바른다. (38) 습관성 유산 ① 향부자 8g+자소엽(소엽) 20g ② 향부자(1)+자소엽(1)가루(8g) ③ 속단(1)+율기생(1) 가루(12g)로 죽을 쑤어 먹는다. ④ 속단, 황금 각 10g ⑤ 두충(2)+속단(2)+산약(1) 꿀 알약(8g) ⑥ 황련 가루(8g)를 술에 타서 하루 3번 복용 ⑦ 아교(15g)+애엽(15g)+파 흰뿌리 1개를 달여서 하루 두 번 복용; 몸이 허약하고 냉증이 있으면서 유산이 잘 될 때 (39) 시력저하(보호)⇒명목 (40) 식도암 ① 백굴채 250g을 찧어 술 2리터에 담궈 찌꺼기는 버리고 10ml씩 하루 세 번 식전에 복용 ② 생마 500g을 술 2리터에 담가 하루 50~100ml 씩 하루 서너 번 공복에 복용 ③ 식품: 부드러운 고깃국, 콩국물, 사과즙. (41) 식도이물 ① 고구마를 갈아서 먹는다. ② 파를 잘라서 많이 먹는다. ③ 생달걀을 한꺼번에 삼킨다. ④ 상추나 배추쌈 ⑤ 부추죽 ⑥ 식초를 물에 연하게 타서 삼기고 엿을 먹는다. (42) 식도염 ① 노근 60g ② 두릅나무 잔가지+뿌리 45g ③ 행인 속껍질 벗긴 것 12g ④ 백작약 20g ⑤ 고삼(너삼) 10g (43) 식중독(1회복용) ① 용아초 30g 달여 1회 복용 ② 과체(1)+적소두(1)가루(2g) ③ 감초, 서목태 각 20g (44) 식은땀이 날 때(땀나기; 폐염, 폐결핵, 늑막염, 류머티스 등 열병이나 허약 체질) ① 부소맥 20g+모려분 12g ② 모려분(4g) ③ 황기 12g 식후 ④ 둥굴레(황정) 30g 식전 ⑤ 백출 20g+방풍, 황기 10g: 옥병풍산 ⑥ 백출(2)+진피(1)가루(6g) 식간 ⑦ 황기 50g+찹쌀 1스푼+대추 2개+생강 3쪽 :기허로 오는 자한증 ⑧ 계지, 대추, 생강, 작약 각 3g, 황기, 감초 각 2g: 긴장성으로 땀이 나는 노인, 출산 후 진액이 부족할 때 (45) 신경과민 (신경증, 신경쇠약, 노이로제) ① 산조인 30g 식후 ② 영지 12g ③ 솔잎(송엽;9)+박하(1)베개(3일마다 속을 바꾸어 넣는다) ④ 고본 15g ⑤ 영신초 30g 달여 자기 전 복용 ⑥ 구기자(1)+숙지황(1)+의이인(1)가루에 산사 달인 물로 개어 꿀을 섞어 환을 만들어 먹는다. 10~20g씩 하루 3~5번 복용 ⑦ 오미자 15g ⑧ 오가피 38g ⑨ 구기자 16g ⑩ 창출 30g ⑪ 연자육탕: 연자육 10g, 석창포, 죽엽 각 5g, 감초 2g 식후 2회 복용 ⑫ 온담탕: 반하, 진피, 지실, 죽여, 대추 각 4g, 감초 2g 생강 19g 식후 복용 (46) 신경성 두통 ① 삼황사심탕: 대황, 황금, 황련 각 2g 공복에 2회 복용 (47) 신경성 위병(위 신경증) ①세신(1)+창출(1) 가루 1회 8g 식후 3회 ② 현호색을 술에 20분 담갔다 말려서 가루내어 1회 6g씩 식전 하루 3회 복용 (48) 신경성 피부염(피부신경증, 피부소양증)(노인성: 신장, 간장, 내분비, 위장질환, 기생충, 신경이 원인, 부인: 생식기 질환, 임신, 갱년기장애가 원인) ① 차천초 달인 액으로 씻고 마신다. ② 부평초, 창이자, 지부자 각 8g을 달여서 1개월 정도 바른다. ③ 방풍(해방풍) 20g ④ 사상자 25g를 달여 하루 2-3회 바른다. ⑤ 유근피 100g+황백 200g 물 5리터를 붓고 달여 1리터로 졸여서 바른다. ⑥ 고백반+너삼(고삼)가루 각 30g에 술 1컵을 붓고 섞어서 약천을 담가 적셔서 비벼준다. (49) 신경질 ⇒히스테리 (50) 신경통 ⇒늑간신경통, 삼차신경통, 좌골신경통, 상박신경통 (51) 신우염 ① 결명자, 의이인 각 12g 옥수수수염 50g ② 연교 18g 식후 ③ 편축 15g (52) 신장결석 ⇒콩팥결석 (53) 신장염 ⇒콩팥염 (54) 심계항진 ⇒가슴 두근거리기 (55) 심근경색증(발작) ① 감국차 18g ② 감꼭지(시체) 18g ③ 당귀 18g ④ 맥문동 20g ⑤ 상백피 12g ⑥ 인삼 50g ⑦ 송엽 15g (56) 심근염 ① 연자육 20g ② 연자육죽 ③ 하수오 가루 8g ④ 우슬 30g ⑤ 용아초 20g ⑥ 산사가루 6g (57) 심마진(알레르기성 피부염) ① 생 알로에 90g을 즙을 내어 하루에 두세 번 복용 ② 결명자차(18g)와 비콤씨 복용 (58) 십이지장충증(채독) ① 괴싱아(산모근) 10g을 달여 공복에 복용하고 1시간 후 설사약 복용 ② 매실과 산초씨(조피나무열매) 각 15g을 가루 내어 쌀가루로 반죽하여 0.5g짜리 알약을 6~12알 복용 ③ 학슬가루(6g)를 식초에 타서 복용 ④ 학슬(50g) 자기 전에 복용 (59) 심장병 예방과 치료 ① 오골계한방찜 : 오골계를 손질하여 내장을 걷어내고 수삼 2뿌리, 감초, 구기자, 갈근 각10g, 은행, 대추, 밤, 마늘, 생강을 적당히 넣은 다음 센 불로 찜을 하여 복용. 일주일에 두 마리씩 3개월 정도 장복. (60) 심장신경증(정신신경이 불안초조해서 오는 증상) ① 영계감조탕 : 백복령 4g, 계지 3g, 대추 3g, 감초 1g에 물 한대접을 붓고 중간 불로 30분 정도 달여서 식후 하루에 세 번 5~6개월 장복. ② 연자육 가루(4g) 식후 ③ 연자육(30~40g)쌀죽 ④ 산조인(30g) ⑤ 산조인 볶은 가루(4g) ⑥ 산조인(1) + 석창포(1)가루 (4g) (61) 심장판막장애 ① 황정(20g) ② 정력자 볶은 것(12g) ③ 은방울꽃(10g) + 삼지구엽초(음양곽 15g)을 달여서 찌꺼기는 짜버리고 전량이 10ml 되게 졸여서 한번에 2ml씩 하루 세 번 식후 복용 |
![]() |
출처 : 증상, 질환별 민간요법 및 간편처방-사
글쓴이 : mouseskr 원글보기
메모 :
'꽃식물 민간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증상, 질환별 민간요법 및 간편처방 (0) | 2007.05.19 |
---|---|
[스크랩] 증상, 질환별 민간요법 및 간편처방-바 (0) | 2007.05.19 |
[스크랩] 증상, 질환별 민간요법 및 간편처방-아 (0) | 2007.05.19 |
[스크랩] 증상, 질환별 민간요법 및 간편처방-자 (0) | 2007.05.19 |
[스크랩] 증상, 질환별 민간요법 및 간편처방-차 (0) | 2007.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