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랑부리백로 (조류) [Egretta eulophotes]
황새목(―目 Ciconiiformes) 백로과(白鷺科 Ardeidae)의 한 종(種
1987년 8월 12일 인천광역시 옹진군 신도(新島)에서 처음 번식지가 발견된 뒤,
1988년 6월 10일과 6월 27일의 2회, 1989년 5월 18~20일의 2회, 1991년 6월 18일과 27일의 2회 등
4년 동안 학술조사되었다.
신도는 북위 37°30′, 동경 126°03′에 자리잡은 면적 5,945㎢ 정도의 작은 바위섬(표고 40여m,
옹진군 북도면 장봉리 서안쪽 약 20.5㎞ 지점)으로, 이곳에는 명아주와 비쑥 2종의
식물과 무인등대 하나밖에 없다.
노랑부리백로는 섬의 남·북 양 사면 8부 능선에서 정상까지의 약 200m 범위에서 집중적으로 둥지를 틀고 번식한다.
또 이곳에는 괭이갈매기도 있는데, 그들 대부분이 섬의 8부 능선 이하 급경사나 바위 절벽에서 번식하지만 일부
무리는 8부 능선 이상에서 노랑부리백로와 함께 지낸다. 이곳에서 2종은 아주 가까이 둥지를 트는데,
1m 이내 거리에서도 알을 품는다. 둥지는 마른 비쑥을 주로 사용하여 엉성하게 튼다.
1988년에 조사한 둥우리는 평균 안지름이 18.4㎝, 바깥 지름 35.1㎝, 높이 22.4㎝(이상 13둥지의 평균치)였고,
알은 길이 46.60㎜, 폭 33.64㎜(29개의 평균치)였다. 알은 3~4개를 낳는데, 간혹 5개도 낳는다.
참고로 괭이갈매기는 알의 길이가 평균 60.9㎜, 폭 43.0㎜(8개 평균치)였다. 1989년 5월 18~20일에 조사된 신도
노랑부리백로의 번식집단은 어미새가 250개체, 둥지는 총 363집이었다. 한편 괭이갈매기는 약 2,800쌍이 번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번식 후 번식지를 떠난
노랑부리백로는 남하이동을 앞두고 해안 갯벌에서 무리지어 취식한다(자료.元炳旿 글노랑부리백로 )

노랑부리백로 출처 서일성
노랑부리백로(Egretta eulophotes) 관련항목 : 천연기념물 노랑부리백로
007년 월일중랑천에서 은보라빛찍음 .008년 4월1일 글과사진 작성 은보라빛.
'중랑천꽃과나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보라빛 중랑천 청띠 신선나비 (0) | 2008.04.11 |
---|---|
은보라빛 중랑천 꽃과 큰줄 흰나비 (0) | 2008.04.09 |
은보라빛 중랑천 꽃과 네발나비 (0) | 2008.04.01 |
은보라빛 중랑천 부처나비 (0) | 2008.04.01 |
은보라빛 중랑천 부전나비 (0) | 2008.04.01 |